국토교통부는 금년 7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51,287호로, 전월(50,257)대비 2.0%인 1,030호가 늘었다고 밝혔다.
7월중 전월세거래량은 전국 132,095건으로 전년동월대비(107,874건) 22.5% 증가하였고, 전월대비(112,205건)로는 17.7%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규입주물량 증가, 월세소득공제 확대에 따른 단독·다가구의 확정일자 신청 증가 등이 주요인으로 추정 되어진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 이후 8개월 연속 감소했던 미분양 물량은 금년 4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신규 등 증가분 : ’14.6월 6,781호 → 7월 6,825호(수도권 563호, 지방 6,262호)
기존 미분양 해소분 : ’14.6월 5,550호 → 7월 5,795호(수도권 3,978호, 지방 1,817호)
한편, 준공후 미분양은 전월대비 소폭 감소(△791)한 20,312호로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14.1(20,566)→`14.2(20,193)→`14.3(20,758)→`14.4(20,323)→`14.5(20,908)→`14.6(21,103)
지역별로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은 전월(30,212호) 대비 11.3%(3,415호) 감소한 26,797호로, 이는 김포, 파주, 평택 등 경기도와 인천의 미분양이 감소한데 기인하였다.
* 신규 등 증가분(563호) : 서울 24호, 인천 91호, 경기 448호
* 기존 미분양 해소분(△3,978호) : 서울 △133호, 인천 △652호, 경기 △3,193호(김포시 △1,045호, 파주시 △649호, 평택시 △625호 등)
지방은 대구, 광주, 세종, 경북 등의 지역에서 미분양이 증가하여 전월(20,045호) 대비 22.2%(4,445호) 증가한 24,490호로 나타났다.
* 신규 등 증가분(6,262호) : 대구 1,400호, 광주 548호, 세종 1,042호, 경북 454호 등
* 기존 미분양 해소분: (6월) 2,602호→ (7월) 1,817호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동월대비 12.9% 증가(56,518건), 아파트 외 주택은 30.7% 증가(75,577건)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임차 유형별로는 금년 7월중 전세거래는 전년동월 대비 18.5% 증가하였으며, 월세 거래는 28.5% 증가 하였다.
전세 거래량 증감률(%) : ('14.3)△1.2→(4)△4.2→(5)△0.7→(6)△0.6→(7)+18.5
월세 거래량 증감률(%) : ('14.3)+10.7→(4)+7.5→(5)+13.4→(6)+19.2→(7)+28.5
7월중 월세거래비중(전체주택 기준)은 41.5%로, 전년동월(39.6%) 대비 1.9%p 증가하였다.
규모별로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이하는 전월(30,706호) 대비 4.6%(1,415호) 증가한 32,121호로 나타났으며, 85㎡ 초과 중대형은 전월(19,846호)대비 680호 감소한 19,166호로 나타났다.
전국 주요 아파트 단지의 순수전세 실거래가격은 아래와 같다.
강남 대치 은마(76.79㎡) : ('14.6, 11층) 33,000만원 → ('14.7, 11층) 35,000만원
송파 잠실 리센츠(84.99㎡) : ('14.6, 14층) 65,000만원 → ('14.7, 15층) 65,000만원
성북 정릉 풍림(59.88㎡) : ('14.6, 1층) 17,000만원 → ('14.7, 1층) 17,500만원
강북 미아 에스케이(59.98㎡) : ('14.6, 25층) 21,000만원 → ('14.7, 20층) 21,000만원
군포 산본 세종(58.71㎡) : ('14.6, 18층) 18,000만원 → ('14.7, 18층) 19,500만원
의정부 현대아이파크(84.68㎡) : ('14.6, 11층) 19,000만원 → ('14.7, 17층) 18,000만원
월간 굿옥션 밴드 초대 주소: http://www.houseedu.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