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정치적 표심 향방에 의해 너무 과도하게 추진되어 지정되지 말아야 할 곳까지 정확한 계획 없이 지정되었다는 점이다.
뉴타운 지정 당시의 취지를 살펴보면 난개발 방지와 강?남북 불균형 해소가 주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목적의 중요성은 지금도 달라지지 않았다고 본다. 결국 과도한 지정에 따른 문제점이 많다하여 추진해야 할 곳의 필요성이 사라진 건 아니란 얘기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의 상황은 강남 재건축 일부가 오히려 더 용적률 상향을 받고 탄력을 받고 있으며 강북 재개발은 뉴타운이 해제(일몰)되는 위기에 쌓여있다.
처음 취지와 달리 지역 간 불균형은 더욱 심해져 가고 있으며 부익부 빈익빈이 현재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것에 대한 해결이 뉴타운이었는데,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오히려 서울의 강북은 술렁거리며 슬럼화 되어간다. 이는 구도심 문제를 앓고 있는 대부분의 시도가 겪는 불편함이다. 강북(구도심) 개발의 필요성이 없어졌다 보는 것은 맞지 않다는 결론이지만 그렇다하여 뉴타운 진행을 무턱대고 할 일도 아니라는게 대세적 분위기이다. 개발에 따른 영세 서민, 세입자의 피해와 재정착 문제, 각종 비리 발생에 대한 문제 등 풀어야 할 것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여 재개발 지역에 사는 서민들이 원하는 것이 계속해서 재개발 지역에 거주하는 것은 아니리라 본다. 문제가 많으니 시작도 말자는 의견은 청계천을 오랜 기간 방치한 과거사례를 보아도 해결책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아무리 영세한 서민, 세입자라도 새로운 주거문화에 대해 꿈꿀 것이다. 개발사업으로 인해 서로 뺏기고 밀려나면 안 될 일임에 분명하지만 그렇다 하여 범죄율마저 높아지고 있는 슬럼화 된 판잣집에서 영원히 살고 싶은 맘을 가진 사람은 없다. 이에 슬럼화를 묵인해서도 안 될 것이며 결국 서민의 주거,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국가의 역할은 계속해서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모든 논쟁들이 방법론의 부재를 의미할 뿐 필요성을 부인해선 안 되는 중요한 이유다. 국가는 일몰에 대한 방법을 찾기보다 진행을 위한 방법을 찾았어야 함이 옳다. 그러면서 정치적 표심의 이유로 지정된 곳을 골라냈어야 했다.
현실화하기 위한 방법론이 문제인데, 그 방법론을 못 찾았다는 이유로 난개발로 다시 돌아가거나 부자들 동네 개발로만 치우친다면 몇 년 후의 서울시 그리고 구도심의 모습은 지금보다 더 위태로워 질 것임에 분명하다. 방법론을 못 찾았다는 이유와 너무 정치적으로 흘렀다는 이유가 필요성을 지우지는 못한다. 결국 다시 필요성이 더욱 더 크게 부각되는 날이 심각하게 오고야 말 것이며,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강남과 강북의 불균형은 더 커지고야 말 것이다.
뉴타운 지정 당시의 취지를 살펴보면 난개발 방지와 강?남북 불균형 해소가 주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목적의 중요성은 지금도 달라지지 않았다고 본다. 결국 과도한 지정에 따른 문제점이 많다하여 추진해야 할 곳의 필요성이 사라진 건 아니란 얘기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의 상황은 강남 재건축 일부가 오히려 더 용적률 상향을 받고 탄력을 받고 있으며 강북 재개발은 뉴타운이 해제(일몰)되는 위기에 쌓여있다.
처음 취지와 달리 지역 간 불균형은 더욱 심해져 가고 있으며 부익부 빈익빈이 현재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것에 대한 해결이 뉴타운이었는데,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오히려 서울의 강북은 술렁거리며 슬럼화 되어간다. 이는 구도심 문제를 앓고 있는 대부분의 시도가 겪는 불편함이다. 강북(구도심) 개발의 필요성이 없어졌다 보는 것은 맞지 않다는 결론이지만 그렇다하여 뉴타운 진행을 무턱대고 할 일도 아니라는게 대세적 분위기이다. 개발에 따른 영세 서민, 세입자의 피해와 재정착 문제, 각종 비리 발생에 대한 문제 등 풀어야 할 것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여 재개발 지역에 사는 서민들이 원하는 것이 계속해서 재개발 지역에 거주하는 것은 아니리라 본다. 문제가 많으니 시작도 말자는 의견은 청계천을 오랜 기간 방치한 과거사례를 보아도 해결책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아무리 영세한 서민, 세입자라도 새로운 주거문화에 대해 꿈꿀 것이다. 개발사업으로 인해 서로 뺏기고 밀려나면 안 될 일임에 분명하지만 그렇다 하여 범죄율마저 높아지고 있는 슬럼화 된 판잣집에서 영원히 살고 싶은 맘을 가진 사람은 없다. 이에 슬럼화를 묵인해서도 안 될 것이며 결국 서민의 주거,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국가의 역할은 계속해서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모든 논쟁들이 방법론의 부재를 의미할 뿐 필요성을 부인해선 안 되는 중요한 이유다. 국가는 일몰에 대한 방법을 찾기보다 진행을 위한 방법을 찾았어야 함이 옳다. 그러면서 정치적 표심의 이유로 지정된 곳을 골라냈어야 했다.
현실화하기 위한 방법론이 문제인데, 그 방법론을 못 찾았다는 이유로 난개발로 다시 돌아가거나 부자들 동네 개발로만 치우친다면 몇 년 후의 서울시 그리고 구도심의 모습은 지금보다 더 위태로워 질 것임에 분명하다. 방법론을 못 찾았다는 이유와 너무 정치적으로 흘렀다는 이유가 필요성을 지우지는 못한다. 결국 다시 필요성이 더욱 더 크게 부각되는 날이 심각하게 오고야 말 것이며,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강남과 강북의 불균형은 더 커지고야 말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