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국토교통 예산(20.9조원) 대비 1.8조원 증가(8.6%↑)
지역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도로・철도 등 SOC에 대한 투자를 확대(국토부 소관 SOC : 20.6조→21.4조, 0.8조 증, 3.8%↑)
새로운 주거급여 시행에 대비하여 사회복지 분야 예산도 1.0조원 증가
특히,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국가 틀을 바꾸기 위해안전투자를 대폭확대(국토부 소관 : 3.3조→4.0조, 0.7조원 증, 20.1%↑)
국토교통부는 2015년 예산안을 2014년(20.9조원)에 비해 8.6% 증가한 22.7조원으로 편성하였다.
국토부 소관 SOC(도로・철도・항공・수자원 등)는 2014년 대비 3.8% 증가
당초 계획은 SOC 분야의 지출을 축소할 예정이었으나 적극적인 재정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내수진작 및 경기부양 효과(높은 고용・생산유발효과)가 높은 SOC에 대한 지출을 확대하여 투자 촉진과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계획이다.
2013~201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는 SOC 분야(해수부 등 포함) 지출을 연평균 5.7% 감소하는 것으로 계획
우선, 국정과제 및 지역공약의 성과를 가시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요 SOC 계속사업을 집중 지원한다.
도로・철도・주거급여 등 총 98개의 국정과제 및 지역공약 사업에 총 7.9조원을 지원(’14년 6.3조원)하고, 민간투자를 촉진하고 지역 경제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민자도로・일반철도 건설 등의 SOC 계속사업에 예산을 중점 편성하였다.
(2015년 완료) 용산-문산 복선전철, 경부고속철도(대전-대구 도심구간), 성산-담양 고속도로(88 고속도로 확장), 교통안전 시범도시 등 7개 사업
(2015년 신규) 광주순환 고속도로, U-City 플랫폼 기반구축, 물류기업 해외진출 지원, 해외건설 마이스터고 지원, 주거급여 등 5건
(민자도로 건설) 2014년 14,148억원 → 2015년안 17,472억원(3,324억원 ↑)(일반철도 건설) 2014년 26,354억원 → 2015년안 39,507억원(13,153억원 ↑)
특히, SOC 노후화에 대비하여 사고 위험도가 높은 시설 및 지역 등에 대한 안전투자를 대폭 강화한다.
국토교통 안전예산 : 2014년 33,368억원 → 2015년안 40,068억원(6,700억원 ↑)
노후한 교량・철도시설, 위험도로 등의 시설물에 대한 개량투자를 확대*하고, 교육훈련 등 S/W 투자도 병행해서 지원할 계획이다.
도로구조물 기능개선 : 2014년 1,948억원 → 2015년안 4,459억원(2,511억원 ↑)일반철도 시설개량 : 2014년 2,600억원 → 2015년안 4,184억원(1,584억원 ↑)
2015년부터는 도시철도 스크린도어 설치(675억원) 및 내진보강(227억원)에 필요한 예산도 신규로 지원하여 도시철도의 안전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그간 스크린 도어가 없어 승강장에서의 추락 등 안전사고가 빈발(2009년~2013년 112건)하였으나, 이를 원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2016년까지 전국 도시철도 구간의 스크린 도어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고,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못한 서울 도시철도 1~4호선에 대한 내진보강 사업을 조속히 완료(2018년)하기 위해 예산을 지원한다.
2014년 8월 기준, 전국 590개 역 중 90개 역은 스크린 도어가 미설치(2006년 이후 신설된 역은 건설과 동시에 스크린도어가 설치, 2006년 의무화)
전국 도시철도 21개 노선(615㎞) 중 17개 노선(561.8㎞)은 도시철도 건설단계에서 내진설계를 하였거나 내진보강사업을 통해 내진성능을 기 확보
또한, 지하 공동(空洞) 유무를 탐사할 수 있는 장비를 활용(한국시설안전공단을 통해 국도 등 지하공간을 탐사)하여 싱크홀 문제에 대처하고, 도로굴착 등에 의한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1998년부터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2015년안 100억원)을 추진해 오고 있었으나, 2015년에는 지하공간에 대한 통합지도 작성 연구(1억)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굴착시 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굴착기술과 도로 침수시 빗물을 흡수하여 침수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포장 기술 등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R&D 사업(42억원)도 추진한다.
2015년에 추진되는 주요 신규사업으로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편(현재 관련법 국회 계류중)에 따라 새로운 주거급여제도의 시행에 필요한 예산을 반영하였다.
2014년 복지부 7,285억원 → 2015년안 국토부 10,913억원
대상가구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43%이하로 확대(73만→97만)되고, 월평균 급여액도 약 2만원(약 9만원→11만원) 늘어나게 된다.
구도심・주택가 등 주차난이 심각한 지역에 공영주차장・노상 무인주차기 등을 설치하고, 개별주차장의 주차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주차환경개선사업(221억원)도 신규 추진한다.
2015년에는 25개 지역을 지원(국비보조율 50%) : 서울 1개, 부산 1개, 대구 2개, 광주 8개, 인천 2개, 세종 2개, 충북 1개, 전북 4개, 경북 1개, 제주 3개
또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13,537억원), 2015년 세계 물포럼(44억원) 등 국제행사도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을 지원한다.
(평창올림픽) 원주-강릉 철도건설(9,200억원), 국도 6호선・59호선(2,316억원), 제2영동 민자고속도로(605억원), 동홍천-양양 고속도로(1,416억원)
한편, 국토교통부는 산단 진입도로 지원수준의 합리적 조정*, 2+1 차로의 도입 등 세출절감을 위한 제도개선을 지속 추진하고, 계획대로 집행되도록 매월 집행상황을 점검하고, 예산낭비 요인이 없도록 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등 집행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산단 진입도로 길이 및 차로수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하향 조정(예 : 100만㎡ 미만의 산단 : 3㎞ → 2㎞, 2~4차로 → 2차로)
2015년 정부 예산안은 9월 23일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1. 도 로 (2014년 83,912억원 → 2015년안 87,918억원, 4,006억원 增)
교량 등 도로구조물 기능개선(1,948→4,459억), 위험도로 개선(739→810억), 도로유지보수(3,370→4,776억) 등 안전분야 투자를 대폭 확대
고속도로・국도(53,117→50,073억)는 계속사업 중심으로 집중투자하고, 민간투자 촉진을 위해 민자사업(14,148→17,472억)은 최대한 반영
2. 철도・도시철도 (2014년 68,032억원 → 2015년안 73,026억원, 4,994억원 增)
일반철도 안전 및 시설개량(2,600→4,184억), 도시철도 내진보강(신규 227억) 및 스크린도어설치(신규 675억) 등 안전분야를 대폭 강화
평창올림픽 지원(원주~강릉 철도 등) 등 국정과제 및 지역공약은 사업추진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반영
특히, 서해선(300억)・영천~신경주(400억) 복선전철 등 신규 착공예산을 반영
3. 수자원 (2014년 23,830억원 → 2015년안 23,054억원, △776억원)
국가・지방하천정비(11,935→10,900억) 등 치수사업은 금년수준 보다 다소 축소하되, 취약지역 중심으로 내실을 도모할 계획
이상홍수에 대비하여 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치수능력증대사업(1,072→1,354억)과 맑은 물 공급사업(43→101억)도 지속 추진
2015년 세계물포럼(4.12~4.17, 대구․경북)의 성공적인 개최와 후속사업 시행을 위한 소요예산 반영(44억)
4. 항공・공항 (2014년 1,008억원 → 2015년안 1,284억원, 276억원 增)
항행안전시설확충 (302→428억), 항공안전체계 구축 및 유지관리(81→202억) 등 안전관리기능을 강화
차세대항행안전시설구축, 항행안전무선시설구축, 항공정보통신시설구축
특히, 울릉(20→60억)․흑산(15→20억) 소형공항의 설계비(2017년 착공)와 제2항공교통센터(120→240억)의 착공비(2016년 완공)를 반영
5. 물류 등 기타 (2014년 12,683억원 → 2015년안 12,364억원, △319억원)
택시감차(56→160억), 해외건설시장개척(148→154억),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34→53억) 등 주요 정책사업 지원에 역점을 두었음
특히, 싱크홀 탐사장비 구입・지하공간 통합지도 작성・지반구조 안정성 연구 등 싱크홀 예방을 위한 사업도 추진
또한, 도심 주차난 해소를 위한 주차환경개선사업(공영주차장 설치 등 221억)과 자동차튜닝 활성화(인증센터 건립) 지원(10억)도 신규로 추진
6. 지역 및 도시 (2014년 7,978억원 → 2015년안 7,802억원, △176억원)
해안권발전 선도사업(217→267억), 성장촉진지역개발(2,091→2,091억), GB 주민지원(766→700억) 등 낙후지역 지원사업도 차질없이 추진
지역개발사업의 과잉・난개발 방지를 위한 평가체계도 신규로 마련(2억)
도시재생(306→431억), 그린리모델링 활성화(44→57억) 등 생활체감형 투자를 확대하고, 건축안전모니터링 사업(7억)도 신규 추진
지적재조사(80→150억), 국가기본도 제작(594→645억), 위성정보활용센터 설립(신규, 7억) 등 공간정보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을 확대
통일대비 북한지역 디지털지적 구축 사업도 신규로 추진(20억)
7. 산 단 (2014년 8,991억원 → 2015년안 8,732억원, △259억원)
산단 입주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시설인 산업단지 진입도로의 적기준공에 중점을 두되, 신규사업은 최소화(22→14건)
또한, 노후산단 재생 활성화를 위한 예산도 지속투입(275→300억)
8. 주택 및 기초생활보장 (2014년 2,682억원 → 2015년안 12,869억원, 10,187억원 增)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주거급여를 확대하고,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실행을 위한 월세통계 보완 등 주택가격동향조사를 강화
정확한 시장동향정보 제공을 위한 실거래 가격지수 대상을 확대*하고, 부동산 실거래 검증을 강화
(현행) 아파트 → (확대)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부동산 경매 NPL 투자 정보 굿옥션 밴드 초대 주소: http://www.houseedu.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